(응집물리 세미나) Flat-surface-assisted physical phenomena occurring in single crystal metal thin film
2022.05.25 09:15
장소 | E6-1 #1323 |
---|---|
일시 | April 08(Fri.) 11:00 |
연사 | Prof. Se-Young Jeong (Optics and Mechatronics Engineering ,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W: 079031
이번 세미나에서는 초평탄표면물리(flat-surface physics), 기판공학 (substrate engineering)과 산화 물리 및 공학(oxidation physics and engineering)에 대해 소개한다. 전세계적으로 아직 발달되지 않은 개념 및 영역들이지만 금속 박막의 표면을 원자층 수준으로 조절하였을 때 나타나는 다양한 새로운 물성, 물질의 기판을 조절하여 목표하는 물질을 완벽한 단결정으로 성장하는 기판공학, 그리고 산화성 금속의 산화가 왜 일어나는 지에서부터 산화를 원천 차단하는 방법과 강제로 산화를 벡터량처럼 제어하는 방법 까지를 소개할 것이다. 산화가 잘 제어된 단결정구리 박막에서 구현되는 빨주노초파남보의 색을 포함하여 회색에서 검정색까지의 무채색 표면에 대한 흥미로운 광학적, 구조적 특성도 소개한다. 뿐 만 아니라 이중의 heteroepitaxial process 임에도 단원자층의 평탄면(mono-atom stepped flat surface)를 보장하는 메타모르픽성장(meta morphic growth)의 막강한 장점을 소개한다.

그림. 원자 스퍼터링 에피택시(ASE)에 의해 성장된 단결정 구리 박막(SCCF)의 표면. a, 원자 한층 거칠기로 구현된 구리 박막 표면의 단면 HRTEM 이미지.
b-c, 기하학적 위상 분석(GPA)으로 얻은 평면 내 및 평면 외 스트래인 필드 맵. d, (111) 층 간격(d(111) = 0.21 nm)에 대한 면외 방향을 따라 얻은 실험 및 시뮬레이션된 강도 프로파일의 비교.
e, 구리 박막의 표면 부분에 대해 동시에 획득한 ADF- 및 ABF-STEM 이미지. 스케일 바: 2nm
참고문헌
1. Layer-controlled single-crystal graphene film with stacking order via Cu-Si alloy formation, VL Nguyen, et al., Se-Young Jeong* and Young Hee Lee*, Nature Nanotech. s41565-020-0743-0 (2020)
2. Color of Copper/Copper oxide, S.J. Kim, et al., and, W.S. Choi*, Se-Young Jeong* and Y. H. Lee*, Adv. Mat. 202007345 (2021)
3. Flat-surface-assisted and self-regulated oxidation resistance of Cu(111) , S.J. Kim, et al., and S. G. Kim*, Y. M. Kim* and Se-Young Jeong*, Nature (2021) in press.
4. Wafer-scale high-quality Ag thin film using a ZnO buffer layer for plasmonic applications, B.-G. Jung , et al., Young Hee Lee*, Seung chul Kim*, Se-Young Jeong*, Applied Surface Science 512 (2020) 145705
5. Wafer-scale single-crystalline AB-stacked bilayer graphene, VL Nguyen, et al., and Se-Young Jeong* and Young Hee Lee*, Advanced Materials, 201601760 (2016)
댓글 0
번호 | 일시 | 장소 | 연사 | 제목 |
---|---|---|---|---|
240 | 4. 4(월), 16:00 | E6, #1501 | 김희철교수 (Postech 물리학과) | New paradigms in Quantum Field Theory |
239 | 2. 28(월),16:00 | E6, #1501 | 김동규교수 (KAIST 물리학과) | Spin-based training of optical microscopes |
238 | 3. 7(월),16:00` | E6, #1501 | 손석우교수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 Climate Physics and Modelling(우리말강의) |
237 | 3. 14(월),16:00 | E6, #1501 | 박용근교수 (KAIST 물리학과) | Quantitative phase ima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el-free 3D imaging, classification, and inference |
236 | 3. 21(월),16:00 | E6, #1501 | 이상성교수 (한국천문연구원) | Multi-wavelength Studies on Relativistic Jets from Gamma-ray Bright Active Galactic Nuclei |
235 | 2015/10/23-12/4 10:30 AM | E6, #1501 | Prof. YongKeun Park & Prof. Tae-Young Yoon | How to write a good scientific paper[Open lecture series] |
234 | 2016/03/07-06/13 | E6, 1501 | Prof. David Helfman(KAIST) 외 |
Physics Colloquium : 2016 Spring
![]() |
233 | 2015/09/07-12/01 | E6, 1501 | 문은국 교수(KAIST) 외 |
Physics Colloquium : 2015 Fall
![]() |
232 | 2009/02/23-05/04 | E6, 1501 | 안종현교수(성균관대) 외 |
Physics Colloquium : 2009 Spring
![]() |
231 | 2009/09/07-11/30 | E6, 1501 | 이주영박사(KIAS) 외 |
Physics Colloquium : 2009 Fall
![]() |
230 | 2009/10/21, 4PM | E6, 1501 | 최석봉교수(서울대) | Interdimensional Universality of Dynamic Interfaces |
229 | 2010/02/08-05/03 | E6, 1501 | 최인수교수(서울대) 외 |
Physics Ciolloquium : 2010 Spring
![]() |
228 | 2011/09/03-12/06 | E6, 1501 | 김용균교수(한양대) 외 |
Physics Colloquium : 2011 Fall
![]() |
227 | 2010/09/06-12/06 | E6, 1501 | 조호진기자(조선일보) 외 |
Physics Colloquium : 2010 Fall
![]() |
226 | 2010/02/14-05/09 | E6, 1501 | 황철주(주성엔지니어링 사장) 외 |
Physics Colloquium - 2011 Spring
![]() |
225 | 2011/05/16, 4PM | E6, 1501 | 서민교교수(KAIST) | Photonics with surface plasmon polaritons |
224 | 2012/02/13-05/14 | E6, 1501 | Kenji Ohmori (Photo-Molecular Science, IMS) | Physics Colloquium : 2012 Spring |
223 | 2012/04/02, 4PM | E6, 1501 | Yong Hee Jeong | A new route to ferroelectricity in magnetic spinels: a case of Co2MnO4 |
222 | 2013/03/11-06/10 | E6, 1501 | 강명수교수(KAIST) 외 | Physics Colloquium : 2013 Spring |
221 | 2013/09/09-12/09 | E6, 1501 | 박혁규교수(부산대) 외 | Physics Colloquium : 2013 F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