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visual

뉴스

  • HOME
  • >
  • 소식
  • >
  • 뉴스

양용수 교수 연구팀이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주사투과전자현미경(STEM) 기반 원자분해능 전자토모그래피 기술을 개발이를 적용해 백금 나노입자 표면과 내부의 3차원 원자 구조를 15 pm(피코미터)의 정밀도로 규명했다. 1 pm(피코미터)는 미터의 1조 분의 일에 해당하는 단위로, 15 pm의 정밀도는 수소 원자 반지름의 약 1/3 정도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전자토모그래피는 전자현미경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측정된 2차원 투영된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를 얻어내는 기술이다최근 주사투과전자현미경과 3차원 토모그래피 재구성 알고리즘의 기술 발전으로 전자토모그래피의 분해능은 단일 원자까지 구분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이를 통해 많은 나노물질의 구조와 물성의 근본적인 이해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자토모그래피 실험에서는 시편을 탑재한 홀더 또는 그리드가 전자빔을 가리게 되는 실험적 제약으로 인해 고 각도(약 75도 이상)의 이미지 측정이 불가능하다이로 인해 고 각도 방향의 분해능이 저하되고재구성된 3차원 이미지에 원치 않는 노이즈들이 생겨난다이러한 현상을 손실 웨지 문제(missing wedge problem)라 부르며이러한 문제 때문에 기존의 전자토모그래피 방법으로는 표면/계면의 3차원 원자 구조를 고분해능으로 측정하기 힘들었다.

양용수 교수 연구팀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고 각도 방향의 데이터를 복원함으로써 이러한 손실 웨지 문제(missing wedge problem)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이를 통해 고분해능 3차원 표면/계면 원자 구조의 결정이 가능하게 됐고나노물질의 표면/계면에서 나타나는 물성의 메커니즘을 단일 원자 수준에서 근본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됐다.

물리학과 이주혁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3월 30일 字 게재됐다. (논문명 Single-atom level determination of 3-dimensional surface atomic structure via neural network-assisted atomic electron tomography)

연구팀은 모든 물질은 원자들로 구성돼 있다는 원자성(atomicity)에 근거해 원자 구조 토모그래피 3차원 데이터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했다고 각도의 데이터가 손실된 불완전한 원자 구조 토모그래피 3차원 데이터와 이상적인 원자 구조 3차원 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시키기 위해 인공지능 신경망(3d-unet기반 모델)을 지도학습했다원자성에 기반해 학습된 인공지능 신경망은 손실된 고 각도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복원함으로써 손실 웨지 문제로 인한 분해능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이는 높은 정밀도의 3차원 표면/계면 원자 구조 규명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팀은 개발된 인공신경망 기반 전자토모그래피 기술을 이용해 실제 백금 나노입자의 3차원 표면 및 내부 구조를 단일 원자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었다원자 구조의 정밀도는 인공신경망 적용 전 26 pm에서 적용 후 15 pm으로 큰 폭으로 향상됐다.

 

_images_000033_image1.jpg.jpg

< 그림 1. 시뮬레이션 원자구조 토모그램에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결과 - (a,f,k) 이상적인 원자구조 토모그램 부피데이터, (b,g,l) 손실 웨지 문제로 인해 분해능 저하 및 노이즈가 발생한 토모그램 부피데이터, (c,h,m) (b,g,l)에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결과, (d,i,n) 손실 웨지 문제로 인해 분해능 저하 및 노이즈가 발생한 양자역학적으로 계산된 원자구조 토모그램 부피데이터, (e,j,o) (d,i,n)에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결과. >

 

_images_000033_image2.jpg_1.jpg

 

< 그림 2. 실험에서 측정된 백금 나노입자 원자구조 토모그램에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결과 – (a,c)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지 않은 원자구조 토모그램 부피데이터 및 3차원 원자구조, (b,d)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원자구조 토모그램 부피데이터 및 3차원 원자구조. >

 

연구를 주도한 양용수 교수는 "인공신경망 기반 전자토모그래피는 구성 원소물질의 구조/형태에 의존하지 않는 매우 일반적인 방법으로서전자토모그래피로 얻은 원자 구조 부피데이터에는 종류에 상관없이 바로 적용할 수 있다ˮ며 "이를 통해 많은 물질의 3차원 표면/계면 원자 구조가 정밀하게 규명되고표면/계면에서 일어나는 물성과 이에 연관된 메커니즘의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고성능 촉매 개발 등에 응용될 것ˮ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및 KAIST 글로벌 특이점 사업(M3I3)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