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024-11-15
우리 학과는 지난 2024년 11월 8일 기초과학 강연 시리즈 '물리는 스타★다'를 개최하였다. 2023년 '물리는 교양이다'에 이어 두해째 열린 기초과학 대중강연 시리즈로서 올해는 '전파망원경으로 보는 우주'라는 제목으로 물리학과 김준한 교수의 전파천문학 강연이 있었다. 관측연구/ 관측기기연구/ 컴퓨터 시뮬레이션 이론연구 등 천체물리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우주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지구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서부터 전자기 스펙트럼 대역별 여러가지 망원경과 그 배치, 전파망원경을 이용한 태양계 행성, 행성계, 우리 은하, 우주배경복사에 대한 연구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 아문센-스콧 남극점 기지, 하와이 빅아일랜드 마우나케아 산, 美 캘리포니아주 오웬스 밸리 등 첨단과학 일선에서의 연구활동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로 행사 참여자들로부터 자유롭고 다양한 질문을 받으며 큰 호응을 얻었다. 유성구청의 후원으로 이루어진 본 강연 시리즈는 유성 지역 초등학생 80여명과 교내 구성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강연으로 진행되었으며 지역 꿈나무들에게 진로체험의 기회 제공 및 과학 대중화 활동의 일환으로 지속 추진중이다.
2024-11-12
우리 학과 소속 대학원생의 논문이 우수논문으로 선정,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11월 14일(목) 오후 2시에는 BK 교수회의실에서 시상식이 개최되었습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왼쪽부터 김강흔, 허준혁, 조민석, 김예찬, 권용준 학생)
2024-11-04
< (왼쪽부터) 의과학대학원 이만재 박사,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 > 인체 장기의 구조와 기능을 모사한 3차원 미니 장기인 오가노이드는 다양한 질병 연구와 신약 개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연구진이 기존 이미징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살아있는 오가노이드를 고해상도로 실시간 동적 변화를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 대학 물리학과 박용근 교수 연구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교정 연구단(단장 구본경) 연구팀과 ㈜토모큐브의 협력으로, 홀로토모그래피 (holotomography) 기술을 활용해 살아있는 소장 오가노이드를 실시간으로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는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기존의 이미징 기법들은 살아있는 오가노이드를 장기간 고해상도로 관찰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형광 염색 등의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형광 등 염색 없이도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세포 손상 없이 오랜 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도입했다. < 그림 1. 연구 흐름도. 홀로토모그래피를 이용하여 오가노이드의 3차원 형태 복원 및 정량적 분석을 할 수 있다. 본 연구팀에서는 현미경의 한계인 제한된 시야를 개선하기 위해 대면적 시야 결합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3차원 측정을 위해 다초점 홀로그램 영상을 획득하여 3차원 복원하였다. 이후 오가노이드를 구획화하여 분석에 필요한 부분을 나누고 굴절률에서 측정가능한 단백질 농도 및 오가노이드의 생존률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연구진은 실험용 쥐(마우스) 소장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이 기술을 검증했으며, 그 결과 홀로토모그래피를 통해 오가노이드 내부의 다양한 세포 구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었고, 오가노이드의 성장 과정과 세포 분열, 세포 사멸 등의 동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포착할 수 있었다. 또한, 약물 처리에 따른 오가노이드의 반응을 정밀하게 분석해 세포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오가노이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를 통해 신약 개발, 맞춤형 치료, 재생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가노이드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향후 연구는 오가노이드의 생체 내 환경을 더 정확히 재현하고, 더욱 정교한 3차원 이미징을 통해 세포 수준에서의 다양한 ...
2024-10-15
공지사항 More
세미나More
Copyright (C) 2014, Department of Physics, KAIST,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C) 2014 KAIST, All Rights Reserved.